|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
| 5 | 6 | 7 | 8 | 9 | 10 | 11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 컴퓨터조립
- 하드디스크
- 모니터수리
- 컴퓨터수리
- USB복구
- 하드복구
- 컴퓨터업그레이드
- 모니터판매
- 조립pc
- 바이러스
- 양산컴퓨터조립
- 양산컴퓨터수리
- 데이터복구
- 스피커
- 그래픽카드
- MES
- 양산조립PC
- 케이스
- 노트북수리
- 파워서플라이
- 중고컴퓨터판매
- 조립컴퓨터
- 중고컴퓨터수리
- 양산조립컴퓨터
- 스마트공장
- 게임
- 모니터
- 노트북
- SSD
- 메인보드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291)
엠엔디시스템 (시스템개발문의: 055-385-4832)
요즘 스마트공장 또는 스마트공방 등등이나 기타 전산 시스템 개발을 할때 SW도 중요하지만 이를 위한 HW도 매우 중요한 역활을 하게 됩니다. 허나 이 여러 HW 단말기들은 사용자의 물리적인 환경 및 규모 등등을 고려하여 잘 구매를 하셔야 할 꺼 같습니다. ■ 단말기 입력 자원의 종류 일반 데스크탑 PC : 설치공간 및 관리 여건 만 허락한다면 현재로써는 이게 최상 태블릿PC : 이동성이나 시안성 등등이 좋으나, 사용자별 단말기를 다 지급하고 관리할 수 있는지 고려 (관리환경 고려) 스마트폰 : 개인 휴대폰을 활용하므로 가성비 및 단말기 관리가 편하지만 화면의 크기 제약으로 한눈에 여러 데이터를 확인하면서 복잡한 내용을 처리하기에는 다소 어려움 PDA : 바코드 리딩이 필요하는 경우 빠른 바코드 스캔이 가..
부산에 있는 XX제조 업체에 스마트공장 구축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습니다. 해당 도입기업의 제조업 특성상 제조 생산 구역별로 온도 모니터링이 매우 중요한 환경이었습니다. 실내의 작업 온습도가 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이라고 하셔서 기본적으로 자동화 냉난방기 공조장치가 있지만 해당 온도 및 습도 로그도 필요하다고 하셔서 금번 스마트 공장 구축에 필요한 사업계획서 작성에는 이러한 온습도 관리 및 생산 실적 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시스템 규모를 정하였습니다. 스마트공장 구축시 MES가 전체 모든 생산에 필요한 관련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지만, 사업비의 규모나 사업의 중요도 포인트에 따라 현업에서 꼭 1차적으로 해야할 부분에 대하여 우선 중점적인 구조를 설계하고 단계별로 진행하는 방법으로 구축하고자 제..
스마트공장 운영시스템 사용중인 도입기업에서 추가적으로 업무 개선 요청이 와서 해당 작업을 수행하였습니다. 주요 MES 기능 개선 프로세스는 아래와 같습니다. 메인 프로세스는 아니지만, 부서별로 라인 및 재고 수불에 대한 관리가 철저하게 필요한 제조업이라서 그런지 해당 이력을 별도로 관리하고 계십니다. 각 생산라인(구역)별로 재고 보유분을 타 생산라인에서 받아와야 하는 경우 출고 요청을 처리합니다. 1) 받고자 하는 사람이 출고를 요청 > 요청일시 / 요청자 / 요청내용 /요청라인 / 출고라인 / 품목 선택 / 요청수량 > 출고라인이 실제 출고를 처리해 줄 생산 라인(구역) 2) 요청 사항 작성 후 등록 -> 요청서 출력 3) 출고라인이 해당 업무 시스템에서 출고 처리 4) 요청 업무 종료 클리어~~
대중소 상생형 자동화설비 연계 MES 시스템을 23년 진행하여 올 초에 마무리될 예정입니다. 건살 외장재 제조하는 기업인데, 관련 사내 공정 중에서 리벳 작업을 기존에 수작업으로 하고 계셔서 자동 리벳 처리 가능한 자동화 설비를 도입하고 해당 관련 업무에서 사업비의 압박으로 MES 는 다소 규모를 줄여서 주요 업무적인 핵심 기능만으로 하여 시스템을 도입하였습니다. 1) 각 건설 공사 현장별 수주를 등록 2) 각 건설 공사 현장별 -> 아이템 군 별 생산지시 등록 -> 등록시에 상세 제작 품목 목록 작성 BOM 3) 생산지시 최종 반영 -> 작업지시서 출력 4) 현장에서는 생산지시 공사현장 선택 -> 하위 상세지시 선택 -> 각 품목별 제작수량 및 완료수량에 따른 실적 보고 실적보고시 개별 실적 또는 일괄..
현재 스마트공장 구축을 위한 DHT-22 고정밀 온습도 센서 1대를 열흘정도 데이터 수신 확인 온습도 센서의 데이터 수신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걸 확인 후 케이스 제작하기로함. 총 4개의 온습도 센서 케이스 제작해야되기 때문에 철물점에서 직접 케이스(하이박스) 사이즈 확인 후 구매 온습도센서는 외부와 차단되면 정확한 데이터를 얻기 힘들기 때문에 기존 계획은 센서를 박스 내부에 고정시키고 박스에 구멍을 크게 내서 촘촘한 망으로 덮어서 내부와 외부 통하게 하여 데이터 수집하는 방식으로 하기로 했다. 하지만 하다보니 조금 별로같아서 직접적으로 온습도에 반응하는 센서부분만 노출시키기로 결정하고 제작함. 원래 계획대로 홀을 크게 뚫고 망을 설치하여 마무리하려다가 계획이 바꿔서 제작해서 초기 모델은 시행착오가 많음..
단독 프로젝트로 진행한 모기업의 운영시스템 관련하여 할인 정책에 대한 개념의 변경에 따른 프로세스 변경에 대한 내용이 있었습니다. 대부분 고객사의 특성에 따라 할인정책을 반영하여 기본가의 %로 정책을 반영합니다. 인상과 인하로 나누어 계산을 하계 되는데 특이하게 인상일때의 계산방식이 좀 특이해서 인상이 깊습니다. 전체적으로 해외에 거주하는 내국인들의 제품 주문을 취합하여 자체 운영시스템으로 통합적으로 주문을 마감한 후에 이를 다시 각 매입처로 발주를 처리하고 취합하여 발송하는 부분이 주가 되는 개발 시스템이였습니다. 각각의 환경은 PC와 웹을 기반으로 하여 나누어 관리될 수 있고, 웹의 관리자 기능에 대한 대부분은 PC를 활용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처리하였습니다. WMS 와 ERP의 일부 등등 각각의 개..
2024년도 선도형 스마트공장(정부일반형) 구축지원사업 공고 중소기업 제조 현장의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2024년도 선도형 스마트공장(정부일반형) 구축지원 사업의 지원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 2024년 1월 3일부터 신청 가능한 점 참고바랍니다. * 자세한 사업 안내 및 공고 내용은 아래 링크를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 스마트공장 사업관리시스템 (smart-factory.kr) 스마트공장 고도화 사업신청을 위한 서식 파일입니다. 접수 기한은 2024-01-03 ~ 2024-02-16까지 입니다. 스마트공장 고도화 신청을 희망하는 도입기업은 dev@mndsystem.com으로 문의메일 또는 055-385-4832 엠엔디시스템으로 연락주시면 친절하게 안내도와드리겠습니다.
오늘은 모바일 앱 개발에 대한 이야기를 준비했습니다. '코틀린 vs 플러터'라는 주제로 이야기를 나누어 보려고 합니다. 이 두 기술에 대한 논쟁은 꽤 오래 전부터 이어져 왔어요. 무엇이 더 좋다,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 이런 질문에 대해 저도 한번 답해보려고 합니다. 오늘은 그 중에서도 특히 화두가 되었던 코틀린 vs 플러터에 대해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그럼 이 두 기술의 장단점을 함께 알아볼까요? 먼저, 코틀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코틀린의 장점 안정성: 코틀린은 안정성을 중요시하는 개발자들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안드로이드 공식 언어인 만큼, 안드로이드 API와의 호환성이 뛰어납니다. 또한, 네이티브 개발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속도와 성능 면에서도 우수합니다. 그런데 이런 코틀린에도 단점이 있습니다. ..
스마트공장을 신청하신 도입기업 담당자 분들이 종종 MES와 ERP를 헷갈려 하시는 경우가 있어 오늘은 MES와 ERP의 차이를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합니다. 위의 이미지 2개가 MES와 ERP의 차이를 쉽게 보여준다고 생각해 가지고 와봤습니다. MES는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의 약자로 생산관리 시스템이라고 합니다.단어 그대로 제조 현장의 각종 데이터를 전산시스템에 전달합니다.품목의 주문이 들어온 순간 부터 생산 공정을 거쳐 제품이 생산되어 품질 검사를 끝으로 마무리 되는 단계까지 MES에서 관리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위 여러 공정을 거치며 집계되는 데이터를 전산에 등록하여 관리하며, 누적 집계된 데이터를 표준화 및 정형화를 하여 2차 데이터로 활용 할 수 있게끔 해주는..
모든 제조업이 딱!! 고객사의 주문량 만큼만 제조하고 생산하여 납품하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하지만 대부분의 제조업은 업종과 회사의 규모 등등에 따라 반드시 이러한 예측 준비 생산이 어렵습니다. 특히나 고가의 제조 제품을 제조하는 기업인 경우는 더욱더 수주에 대한 물량 산출과 발주 등을 염려해 두어야 할 것입니다. 고객사의 주문(수주)을 하나의 프로젝트라고 보는 경우 해당 프로젝트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여러 필요한 자재가 필요할 것입니다. 또한 각각의 자재들은 발주시에 최소구매수량도 있을 터이고, 납기일자가 다 다를 것입니다. 이러한 사항들을 고려하여 발주를 해야 하는데. 우선은 BOM이 가장 중요하겠습니다. 또한 발주를 관리하는 구매팀의 입장에서는 각각의 프로젝트별로 주문하는 것보다는 내가 어느정도 수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