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엔디시스템 (시스템개발문의: 055-385-4832)

날렵한 공룡이 덩치를 키웠다! WD 벨로시랩터 1TB 본문

컴터및전산관련글

날렵한 공룡이 덩치를 키웠다! WD 벨로시랩터 1TB

dev@mndsystem 2012. 6. 19. 09:52
현재 고속 스토리지의 강자는 SSD지만 이전 데스크탑 PC에서 최고 성능을 보인 스토리지는 단연 웨스턴디지털의 랩터(Raptor)였다. 5400~7200rpm으로 회전하는 하드디스크와 달리 10000rpm에 달하는 초고속 플래터 회전속도는 빠른 PC 성능을 구현하기 위해 꼭 하나 장만해야 하는 아이템으로 꼽혔다.

초기 랩터는 용량이 크지 않았다. 빠르게 회전하는 제품의 특성상 플래터 용량을 키울 수 없었기 때문이다. 플래터 용량을 키우자니 당시 헤드 기술이 따라가지 못했고, 속도는 포기할 수 없었기에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 그러나 꾸준히 용량이 늘어난 랩터는 1세대에서 최대 150GB까지 도달하면서 승승장구했다.

이어 랩터는 2세대로 진화한다. 이름도 랩터에서 벨로시랩터(VelociRaptor)로 바뀌었다. 용량을 600GB까지 올리면서 속도와 용량을 모두 잡았다는 평을 받았다. 그리고 이번에는 다시 한 번 덩치를 키웠다. 한계로 보였던 용량의 벽을 무너뜨린 것이다.

 

날렵한 공룡이 덩치를 키웠다! WD 벨로시랩터 1TB,WD,웨스턴디지털,랩터,1TB,컴퓨터,미디어잇, 뉴스, 신상품 뉴스, 신상품 소식, 상품 리뷰, 제품 리뷰, 상품 인기순위, 쇼핑뉴스, 뉴스 사이트, 뉴스 싸이트, 쇼핑, 온라인쇼핑, 쇼핑, 구매후기, 동영상, 리뷰 동영상, 신제품 정보, 쇼핑방송

 

WD 벨로시랩터(VelociRaptor) 1TB - WD1000DHTZ

제품 용량

1TB (1,000GB)

플래터 구성

333GB x 3

회전 속도

10000rpm

버퍼 용량

64MB

로드/언로드 사이클

 최소 600,000회

인터페이스

SATA 6Gbps

전력 소모

읽기/쓰기 5.1W, 아이들 4.2W, 대기/수면 1.1W

 

 

기존 벨로시랩터와 동일한 디자인이지만 용량은 업!

 

이번 제품은 벨로시랩터 중에서 2세대에 해당한다. 기존 1세대 벨로시랩터는 SATA 3Gbps 인터페이스를 사용했던 반면, 2세대는 SATA 6Gbps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용량 구성도 다르다. 1세대는 74~300GB 용량으로 구성됐던 반면, 2세대는 250GB~1TB로 구성된다. 250GB와 500GB에 새롭게 1TB를 라인업에 추가한 것이다. 600GB 모델도 있었지만 현재 웨스턴디지털 홈페이지에 250GB와 500GB, 1TB 제품이 소개되고 있다.

 

디자인은 기존 벨로시랩터와 동일하다. 2.5인치 하드디스크 크기의 본체를 아이스팩에 결합한 형태로 발열과 작동 안정성을 최대한 확보했다. 아이스팩 때문에 하드디스크 본체는 2.5인치지만 최종 규격은 3.5인치다. 일반 하드디스크와 차별화된 디자인을 하고 있음이 눈에 띈다.

 

벨로시랩터의 큰 특징 중 하나는 회전속도. 일반 대용량 하드디스크 중에서 가장 빠른 것이 7200rpm 정도인데, 이 제품은 10000rpm의 회전속도를 갖는다. 1분에 최대 1만번 회전하기 때문에 데이터를 빨리 읽고 쓸 수 있다. 하드디스크에서 성능을 높이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회전 속도를 높이거나 플래터 집적 용량을 키우는 것이다. 벨로시랩터는 전자에 해당한다.

 

플래터로는 333GB 용량을 3장 배치했다. 총 999GB로 1TB를 구성한 것으로 표기한다. 최근 대용량 하드디스크가 1TB 용량 플래터를 배치하는 것과 비교하면 실망스러울 수 있다. 그러나 실제 벨로시랩터의 플래터는 2.5인치 하드디스크 규격에 준하므로, 회전속도와 용량의 상관 관계를 개선하기에는 현재 기술력으로 역부족이었으리라 생각된다.

 

높은 대역폭을 가지는 SATA 6Gbps 인터페이스 때문에 캐시 용량은 64MB로 정했다. 기존 제품은 16~32MB인 점을 감안하면 큰 용량이다.

 

▲ SATA 인터페이스, SATA 6Gbps 규격

 

 

성능은 어느 정도일까?

 

1TB로 덩치를 키운 웨스턴디지탈 벨로시랩터의 성능은 어느 정도인지 테스트를 통해 알아봤다. 비교 제품으로 WD 캐비어 블랙 1TB 제품과 시게이트 바라쿠다 1TB 제품을 사용했다. SSD와의 성능 차이에 대한 참고를 돕고자 인텔 330시리즈 SSD 120GB도 사용했다. 시스템은 3세대 인텔 코어 i7-3770K, Z77 메인보드, DDR3 1600MHz 8GB 메모리 등으로 구성했다.

 

- HD Tune 테스트

 

 

HD Tune 읽기/쓰기 테스트에서는 분당 1만회 회전하는 제원을 가진 WD 벨로시랩터 1TB가 동급 최고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SSD와 비교하면 읽기 성능은 처지지만 쓰기에서 어느 정도 우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는 표기하지 않았지만 하드디스크가 접근 속도 측면에서는 다소 높은 수준을 나타낸다. 이는 물리적인 한계에 따른 것이다. 

 

- 윈도우7 부팅 속도 테스트

 

 

윈도우 설치 후, 부팅 속도를 알아봤다. 기준은 초기 포스팅 화면이 완료되고 윈도우 로고가 나오는 순간부터 '환영합니다' 화면 접근까지의 시간이다. 여기에서는 읽기 성능이 빠른 SSD가 단연 앞서지만 WD 벨로시랩터 또한 하드디스크 대비 좋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 디아블로3 부팅 테스트

 

 

디아블로3를 실행했을 때, 게임에 접근하는 시간을 쟀다. WD 벨로시랩터 1TB는 10초 가량으로 12~13초를 기록한 1TB 7200rpm 하드디스크 대비 빠른 모습이다.

 

‘고속저장장치’ 타이틀 SSD에 자리를 내주기는 했으나... 대용량으로 자존심 살렸다

 

벨로시랩터는 10000rpm 하드디스크에서 1TB 용량에 도달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 제품이다. SSD를 제외하면 하드디스크 중에서 가장 빠르다. 성능은 제쳐두고 SSD의 용량이 아직 아쉽다고 생각된다면 이 제품으로 조금은 만족할 수 있을 것이다.

 

여러 가지 사항을 고려했을 때 이 제품은 일반 데스크탑 컴퓨팅 환경보다는 워크스테이션이나 기업, 네트워크 스토리지 쪽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제품이다. 용량이 크고 속도까지 빠르기 때문이다. 아직 가격대비 용량이 낮은 SSD의 자리를 벨로시랩터 1TB가 채울 수 있다는 얘기다.

 

 

가격대비 용량으로 따지면 SSD는 아직 하드디스크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벨로시랩터는 여기에 성능을 더했다. 그런 점에서 벨로시랩토 1TB는 필요한 애플리케이션만 인스톨해 쓰는 일반 데스크탑 PC 환경보다 데이터 소비량이 많은 워크스테이션 환경에 더 적합한 제품이다.

 

글 / Brian Kang 테크니컬라이터
기획 및 진행 / 홍진욱 기자
honga@it.co.kr
상품지식 전문뉴스 미디어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