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엔디시스템 (시스템개발문의: 055-385-4832)

“국내 기업 86%, 데이터센터 서버 인프라 교체 원한다" 본문

컴터및전산관련글

“국내 기업 86%, 데이터센터 서버 인프라 교체 원한다"

dev@mndsystem 2014. 8. 21. 12:38

[미디어잇 유진상] 국내 기업의 대부분이 데이터센터 내 서버 자원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그 해결책으로 데이터센터 내 서버 인프라의 개선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델코리아(대표 김경덕)는 국내의 서버 인프라 도입 관련 이슈와 활용 실태 등을 조사한 '2014 국내 데이터센터 서버 인프라 활용 현황 보고서'를 20일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기업의 86%가 데이터센터의 서버 인프라를 바꾸고 싶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국내 기업의 85.1%는 데이터센터에 42U 표준랙을 사용하고 있으며, 랙 서버 공간을 절반 이하만 사용하고 있는 곳이 무려 77%에 이른 것으로 밝혀졌다.

“국내 기업 86%, 데이터센터 서버 인프라 교체 원한다",델,서버,인프라,데이터센터,,컴퓨터,미디어잇, 뉴스, 신상품 뉴스, 신상품 소식, 상품 리뷰, 제품 리뷰, 상품 인기순위, 쇼핑뉴스, 뉴스 사이트, 뉴스 싸이트, 쇼핑, 온라인쇼핑, 쇼핑, 구매후기, 동영상, 리뷰 동영상, 신제품 정보, 쇼핑방송

▲현재 서버 인프라의 문제점(그림 = 델코리아).

 

이 보고서에 의하면 현재 운영중인 서버 인프라가 외부 환경 변화에 얼마나 민첩하게 대응하느냐는 질문에 긍정적인 응답이 30.4%, 부정적인 응답이 18.3%, 중간이 51.4%로 나타났다.

 

특히 서버 인프라의 구성요소 별로 가장 민첩하게 확장성이 요구되는 부분은 스토리지가 48.6%로 가장 높았으며, 메모리 24.6%, 프로세서 12.9%, 네트워크 10.7%로 나타났다.

 

현재 운영 중인 서버 인프라의 문제점으로는 ‘복잡한 관리 업무’가 34.5%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시스템 사양 대비 낮은 활용률’ 27.6%, ‘상면 비용 부담’ 18.8%, ‘과도한 전력 비용’ 16.8% 순으로 밝혀졌다.

 

국내 기업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안고 있는 서버 인프라의 개선 방식으로 서버 가상화(33.9%)와 클라우드 컴퓨팅(25.8%) 도입, 서버 통합 (19.0%), 고집적 저전력 시스템 도입 (16.9%) 등을 들었다.

 

▲서버 인프라 개선 계획 여부 및 시기(그림 = 델코리아).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은 서버 인프라의 개선 프로젝트에 선뜻 나서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서버 인프라의 개선 계획에 대해 85.9%가 있다고 답변했지만 그 개선 시기에 대해서는 3개월내 3.2%, 6개월내 8.7%, 1년내 15.7%였으며,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는 응답자는 무려 58.3%였다.

 

이처럼 많은 기업이 서버 인프라 개선 필요성을 느끼고 있지만 당장 추진하기 어려운 이유로는 예산, 기존 인프라 변경 및 호환성 제한 등의 문제가 지적됐다.

 

한편 x86 서버 도입 시 성능 외에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요소는 가격이 74.0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관리 툴과 전력 소모량이 각각 32.9%, 31.9%로 뒤를 이었으며, 서버 크기(상면)는 24.4%를 차지했다.

 

박재표 델코리아 마케팅 총괄 상무는 "차세대 서버 인프라는 기업 대부분이 사용하는 표준랙 서버에서 구동할 수 있는 폼팩터를 가지면서, 복잡한 관리업무 부담을 줄여줄 수 있어야 한다”며 “다양한 서버 인프라 요소 별로 유연하게 확장할 수 있어야 하며 특히 스토리지에 대한 확장성은 필수적”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현재 기업들이 가장 선호하는 기술인 가상화와 클라우드를 안정적으로 지원하면서 기존 인프라와의 호환성, 유연성 등도 갖춰야 한다”며 “가격 경쟁력은 여전히 기업 대부분이 가장 중요한 서버 선택 기준으로 꼽는 요소이며, 관리 용이성과 저전력 기능도 차세대가 서버 인프라가 반드시 갖춰야 할 요소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2014 국내 데이터센터 서버 인프라 활용 현황 보고서'는 델 코리아가 한국IDG와 공동으로 올해 2월 11일부터 3월 12일까지 한 달간 진행한 설문결과로서 총 504명이 참여했다.

 

유진상 기자 jinsang@i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