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엔디시스템 (시스템개발문의: 055-385-4832)

'사고 예방부터 노후 감지까지' 건설분야 빅데이터 사례 4선 본문

컴터및전산관련글

'사고 예방부터 노후 감지까지' 건설분야 빅데이터 사례 4선

dev@mndsystem 2014. 8. 19. 08:17

[미디어잇 박상훈] 건설 현장의 안전사고 예방부터 건물 노화를 방지하는 원격 감지 시스템까지 빅데이터가 건설 분야에 폭넓게 확산되고 있다. 국내 건설업체들은 내부적으로 상당한 데이터를 축적해 빅데이터 기반을 갖고 있지만, 활용도를 높이는 것은 여전히 숙제라는 지적이다.

 

호주의 위험분석 업체인 시냅터(Synaptor)는 건설현장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빅데이터 시스템을 개발해 현장에 적용했다. 건설 현장에서 생산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작업자들에게 위험을 조기에 경고한다. CCTV 영상을 통해 파악한 위험요소나 길 위에 난 깊은 구덩이, 안전장비를 착용하지 않은 작업원 등 잠재적 위험 요소를 실시간으로 수집해 분석한다.

 

미국의 건설장비 제조업체인 캐터필라(Caterpillar)는 장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데 빅데이터를 사용한다. 각 장비마다 GPS와 센서, 라디오 송수신기와 데이터 관리 소프트웨어를 설치해 장비가 과열되고 있는지, 부속 장치에 이상이 발생했는지를 사전에 작업자에게 알려준다. 관리자는 사무실 모니터를 통해 이들 장비의 위치와 작동 상태 유무, 연료 소비, 위험 신호 등을 한눈에 알 수 있다.

 

'사고 예방부터 노후 감지까지' 건설분야 빅데이터 사례 4선,빅데이터,,컴퓨터,미디어잇, 뉴스, 신상품 뉴스, 신상품 소식, 상품 리뷰, 제품 리뷰, 상품 인기순위, 쇼핑뉴스, 뉴스 사이트, 뉴스 싸이트, 쇼핑, 온라인쇼핑, 쇼핑, 구매후기, 동영상, 리뷰 동영상, 신제품 정보, 쇼핑방송

▲ 호주의 한 업체는 건설현장의 사고를 줄이는 빅데이터 시스템을 개발했다.(화면=시냅터 웹사이트)

 

일본의 건설기계 업체인 고마쓰도 '컴트랙스(Komtrax)’라는 원격관리시스템을 사용한다. 건설기계를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개별 기계의 위치와 가동상황, 도난 여부를 추적할 수 있다. 이런 시스템이 적용된 장비 30만여 대가 70여개 국가에서 활용되고 있다.

 

흥미로운 것은 전 세계에서 사용되는 고마쓰 장비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다. 특정 지역에서 가동률이 늘어나고 줄어드는 것을 통해 그 지역의 건설 경기를 파악할 수 있게 됐다.

 

이밖에 또 다른 일본 업체인 시미즈건설은 건물 노화를 원격으로 감지하는 시스템을 개발해 사용한다. 전국의 건물 곳곳에 진동 센서를 설치하고 여기서 수집되는 데이터를 분석한 후 이를 기상청 등에서 제공하는 지진, 풍속 데이터와 연동해 건물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점검한다. 현재는 구조물의 철근 상태와 진동 댐퍼의 훼손 상태까지 추론하는 지능형 안전관리시스템으로 발전시켜 가고 있다.

 

이처럼 빅데이터가 건설 업종으로 영역을 넓히고 있다. 이미 공공, 유통,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빅데이터가  사용되고 있지만 점점 더 새로운 분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건설 분야의 경우 앞서 살펴본 것처럼 리스크 관리와 안전 관리와 같은 분야에 가장 먼저 적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건설기업에서 축적하고 있는 데이터 (표=한국건설산업연구원)

 

그렇다면 우리나라 상황은 어떨까? 최근 한국건설산업연구원(CERIX)이 시공평가액 기준 상위 30위권 건설 업체 17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보면 국내 현황을 한눈에 알 수 있다.

 

먼저 기업에서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를 확인했다. 입찰/계약 관련 의사결정 데이터는 76%, 원가와 재무관리 관련 데이터가 74%, 품질관리 관련 데이터 71%, 안전관리 관련 데이터 70% 등으로 주요 데이터는 대부분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인적자원관리 관련 데이터(60%), 일정관리 관련 데이터(49%), 리스크 관리 관련 데이터(40%) 등 다른 데이터도 상당 부분 축적돼 있었다.

 

반면 활용도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응답자의 75%가 데이터 분석 활용 수준이 높지 않다고 답했다. 현재의 의사결정 과정에 만족하는 응답자는 10%에 그쳤고, 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의사 결정 문화나 프로세스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86%였다. 도입 계획에 대한 질문에 대해 4명 중 1명이 이미 도입했거나 도입 계획을 갖고 있다고 답했다. 반면 70%는 도입 계획이 없었고 5%는 모르겠다고 답했다. 도입 시기에 대해서는 5년 이내 도입해야 한다(당장 21%, 1~2년내 22%, 5년내 7%)는 응답이 50%에 달했다.

 

▲ 빅데이터의 도입 시기 (표=한국건설산업연구원)

 

전문가들은 건설 분야에서 빅데이터 활용률을 높이려면, 축적된 데이터를 먼저 정제하고 통합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여러 부서가 참여한 사내 분석 전담팀을 꾸리고, 기존 인력에 대한 추가 교육도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또한 데이터 분석 기반의 의사결정 문화를 정착시키고, 공공 데이터와 같은 외부 데이터를 적극 활용해 상권 분석, 신사업 개발 등의 업무에 적용하면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무엇보다 데이터 수집 단계부터 ‘왜?’라는 질문을 던지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한다. 다른 기업들이 도입한다고 해서 분위기에 휩쓸려 막연히 ‘뒤처질 수 있다’는 공포 분위기 때문에 도입하면 거액의 시스템을 사용하지도 못하고 방치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강상혁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IT 솔루션은 이른바 '공포 마케팅’이 효과적으로 통하는 영역”이라며 “관련 시스템을 도입했다가 사용하지 못하는 사태를 막으려면 핵심 성과 지표가 무엇인지에 관한 아이디어를 사전에 명확히 정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상훈 기자 nanugi@it.co.kr